티스토리 뷰

반응형

서울시 성북구는 역사적 유적과 문화재가 풍부한 지역으로, 길상사, 북정마을, 정릉시장, 만해한용운심우장 등 다양한 관광 명소를 자랑합니다. 이 지역은 전통과 현대가 조화롭게 어우러진 독특한 매력을 지니고 있어, 방문객들에게 풍부한 문화 체험과 자연 속 휴식을 제공합니다.

 

썸네일

 

관광 명소

1. 길상사

길상사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에 위치한 사찰로,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송광사의 말사입니다. 이 사찰은 원래 고급 요정인 대원각의 자리에 세워졌으며, 대원각의 주인인 김영한 여사가 법정 스님의 책을 읽고 감동을 받아 사찰로 기증한 곳입니다.

 

특징

  • 역사: 길상사는 1997년에 세워졌으며,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독특한 설립 배경으로 유명합니다.
  • 위치: 서울 성북동 중턱에 위치해 있어 도심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 프로그램: 템플스테이와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도심 사찰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 문화적 의미: 법정 스님의 영정과 친필 원고가 전시되어 있으며,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되었습니다.

 

방문 정보

  • 교통: 4호선 전철 한성대역 6번 출구에서 마을버스 02번을 타고 성북동 길상사 앞에서 하차할 수 있습니다.
  • 주차: 사찰 내에 주차장이 있으며, 규모가 상당합니다.

 

길상사 이미지길상사 이미지

 

길상사는 서울 도심에서 불교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좋은 장소로, 다양한 프로그램과 독특한 역사를 가진 사찰입니다.

 

2. 북정마을

북정마을은 서울 성북구 성북동에 위치한 역사적인 마을로, 한양도성의 성북동 구간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 마을은 조선시대 궁궐용 메주를 만들던 곳으로, 메주 철이 되면 사람들이 많이 모여 마을이 북적거렸다는 의미에서 '북정마을'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습니다.

특징

  • 역사적 가치: 조선시대부터 양반들의 별장터로 사랑받았으며, 한국전쟁 이후 피난민들이 판자촌을 이뤄 살면서 형성된 마을입니다.
  • 전통적 건축물: 1960~70년대 건축된 기와집이 많아 옛 서울의 정취를 느낄 수 있습니다.
  • 문화적 의미: 만해 한용운의 유택인 심우장과 김광석 시인의 「성북동 비둘기」의 배경 마을로도 유명합니다.

 

북정마을 안내도 이미지북정마을 이미지

 

방문 정보

  • 교통: 성북역사문화공원 뒤쪽 성곽길을 따라 걷거나, 안암역에서 버스를 이용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 주변 명소: 성북동 고택, 성북동 벽화마을, 한성대입구 등 다양한 관광 명소가 인근에 위치해 있습니다.

 

체험 활동

  • 전통 찻집 체험: 전통 한국 차와 다과를 즐기며 한국의 차 문화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
  • 문화 예술 워크숍: 지역 예술가들이 주관하는 다양한 문화 예술 워크숍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성북동 문화 축제: 매년 다양한 문화 축제가 열리며, 한국의 전통문화와 현대 문화를 함께 즐길 수 있습니다.

 

3. 정릉시장

정릉시장은 서울 성북구 정릉동에 위치한 전통시장으로, 2010년에 개장한 상설시장입니다. 이 시장은 한옥과 현대식 건물이 조화를 이루며, 다양한 먹거리와 물품을 제공합니다.

 

특징

  • 위치 및 접근성: 북한산보국문역(우이신설선) 1번 출구에서 도보 7분 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버스 정류장도 인근에 있습니다.
  • 시장 구조: 골목형 시장으로, 긴 시장길과 동네 골목이 이어져 있습니다. 약 115개의 점포가 있으며, 주로 식료품과 먹거리 가게가 많습니다.
  • 편의시설: 유아놀이방, 고객안내센터, 고객휴게실, 화장실 등 다양한 편의시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 주변 명소: 정릉천과 산책로가 있어 휴식 공간을 제공하며, 벽화가 그려져 있어 포토스폿으로도 인기가 있습니다.

 

정릉시장 이미지정릉시장 이미지

 

먹거리

  • 대표 메뉴: 통닭, 족발, 도넛, 핫도그 등 다양한 분식류가 인기입니다.
  • 신선한 식재료: 각종 야채, 과일, 생선, 해산물이 신선하게 제공됩니다.

 

문화 행사

  • 개울장: 매월 둘째, 넷째 주 토요일에 열리는 프리마켓으로, 수공예품과 중고물품을 저렴하게 판매합니다.
  • 협력 프로그램: 지역 상인, 주민, 대학과 협력하여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정릉시장은 전통시장의 따뜻한 인심과 젊은이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결합된 독특한 장소로, 많은 방문객들이 찾는 명소입니다.

 

4. 만해한용운심우장

만해한용운심우장은 서울 성북구 성북동에 위치한 역사적 건축물로, 독립운동가이자 시인, 승려였던 만해 한용운(1879~1944)이 1933년부터 1944년까지 거주했던 곳입니다. 이곳은 2019년 대한민국의 사적 제550호로 지정되었습니다.

특징

  • 건축 및 배경: 심우장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 기와지붕 한옥으로, 북향으로 지어졌습니다. 이는 조선총독부를 등지고 싶지 않아 북향으로 선택한 것입니다.
  • 역사적 의미: 한용운은 1919년 3·1 운동의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독립선언서를 발표한 후 3년간 옥살이를 했습니다. 심우장에서 그는 독립운동과 불교 현대화에 헌신하며 살았습니다.
  • 내부 전시: 한용운의 서재에는 그의 글씨, 연구 논문집, 옥중 공판 기록 등이 보존되어 있습니다.

 

만해한용운심우장 이미지만해한용운심우장 이미지

 

방문 정보

  • 주소: 서울 성북구 성북로 29길 24
  • 교통: 4호선 한성대입구역 6번 출구에서 성북 03 버스를 타고 슈퍼 앞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 3분.
  • 이용 시간: 연중무휴, 09:00~18:00
  • 입장료: 무료.

 

심우장은 한국 현대사와 불교 현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 만해 한용운의 삶과 사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장소입니다.

 

5. 오동숲 속도서관

오동숲 속도서관은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에 위치한 공공 작은 도서관으로, 오동근린공원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 도서관은 2023년 5월 2일에 개관했으며, 성북구의 16번째 구립도서관입니다.

 

특징

  • 건축 및 디자인: 목구조 건물로, 오동공원의 자락길을 형상화한 독특한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상 1층, 연면적 431㎡로, 자연 채광이 잘 되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 공간 구성: 독서공간, 북카페, 어린이책 공간 등 6개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7,700권의 도서를 소장하고 있습니다.
  • 야외 도서관 프로그램: 가을철에는 야외 도서관으로 변신하여, 공원 내 다양한 공간에서 책을 읽고 자연을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오동숲속도서관 이미지오동숲속도서관 이미지

 

방문 정보

  •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화랑로 13가길 110-10
  • 이용 시간: 매일 09:00~18:00, 월요일 및 공휴일 휴관
  • 주차: 무료 주차 가능
  • 문의: 02-6952-1806

 

오동숲 속도서관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독서와 휴식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특별한 장소로, 서울 도심에서 벗어나 자연 속에서 책을 읽는 경험을 제공합니다.

 

6. 한국가구박물관

한국가구박물관은 서울 성북구 성북동에 위치한 사립 박물관으로, 한국 전통 목가구를 수집, 보존, 전시하는 곳입니다. 이 박물관은 1993년에 설립되었으며, 약 2,500여 점의 전통 목가구를 소장하고 있습니다.

특징

  • 전시 공간: 박물관은 10채의 전통 한옥과 함께 조성된 마을 형태로, 조선 시대 양반의 생활 방식을 재현하고 있습니다.
  • 전시품: 약 2,500여 점의 가구 중 약 550점이 전시되며, 지역별, 재료별로 분류되어 전시됩니다.
  • 건축물: 창경궁의 일부를 복원한 한옥도 포함되어 있으며, 전통적인 한국 주거 문화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
  • 외부 환경: 박물관 주변에는 아름다운 정원이 조성되어 있으며, 서울 도심과 북한산의 경치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한국가구박물관 이미지한국가구박물관 이미지

 

방문 정보

  • 주소: 서울 성북구 대사관로 121
  • 교통: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에서 택시나 버스를 이용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 입장료: 성인 20,000원, 초중고생 및 장애인, 성북구민은 할인 혜택이 있습니다.
  • 사전 예약: 방문 시 반드시 사전 예약이 필요합니다.
  • 운영 시간: 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운영되며, 일요일과 월요일은 휴관합니다.

 

문화적 의미

  • 명사 방문: 시진핑 주석, 브래드 피트 등 유명 인사들이 방문한 곳으로, CNN에서도 소개된 바 있습니다.
  • 전통문화 체험: 한국 전통 주거 문화와 가구의 아름다움을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장소입니다.

 

7. 상허이태준가옥(수연산방)

상허 이태준 가옥, 통칭 수연산방은 서울 성북구 성북동에 위치한 역사적인 한옥으로, 월북 작가 이태준이 1933년부터 1946년까지 거주했던 곳입니다. 이태준은 이곳에서 여러 문학작품을 집필하며 살았으며, 현재는 전통찻집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특징

  • 건축 및 배경: 이태준이 1933년에 지은 이 가옥은 정면 2칸 대청을 중심으로 왼쪽에 건넌방, 오른쪽에 안방을 두고 있으며, 안방 앞에는 누마루가 있습니다. 일본, 서양, 한국의 양식이 혼합된 독특한 건축물입니다.
  • 역사적 의미: 이태준은 이곳에서 단편 <달밤>, <돌다리>, 중편 <코스모스 피는 정원>, 장편 <황진이>, <왕자호동> 등을 집필했습니다. 1977년 서울시 민속문화재 제11호로 지정되었습니다.
  • 현재 상태: 현재는 이태준의 외종손녀가 운영하는 전통찻집으로, 다양한 차와 디저트를 제공합니다.

 

상허이태준가옥(수연산방) 이미지상허이태준가옥(수연산방) 이미지

 

방문 정보

  • 주소: 서울 성북구 성북로 26길 8
  • 전화번호: 02-764-1736
  • 운영 시간: 월, 화 휴무. 수요일부터 금요일까지는 11:30~18:00, 토요일과 일요일은 11:30~22:00.
  • 주차: 주차 공간이 협소하여 대중교통 이용이 권장됩니다.
  • 메뉴: 단호박빙수, 말차빙수, 쌍화차 등 다양한 차와 디저트가 제공됩니다.

 

수연산방은 역사적 가치와 함께 아름다운 한옥 정원과 차분한 분위기를 제공하는 특별한 장소로, 서울 도심에서 벗어나 자연과 문화를 함께 즐길 수 있는 곳입니다.

 

8. 우리 옛돌박물관

우리 옛돌박물관은 서울 성북구 성북동에 위치한 국내 최초의 석조유물 전문 박물관으로, 2015년에 재개관되었습니다. 이곳은 북악산과 한양도성 사이의 언덕에 자리 잡고 있으며, 다양한 석조유물과 전통 자수작품, 근현대 회화작품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특징

  • 전시품: 약 1,250점의 석조유물, 280여 점의 전통 자수작품, 100여 점의 근현대 회화작품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 전시관: 환수유물관, 동자관, 벅수관, 자수관, 근현대관, 야외전시관 등 다양한 전시관이 있습니다.
  • 환수유물관: 일제강점기 일본으로 밀반출되었던 돌조각을 환수하여 전시하고 있습니다.
  • 자수관: 엄격한 유교문화 속에서 여인들이 표현한 미적 감흥과 꿈을 담은 자수 작품을 전시합니다.

 

우리옛돌박물관 이미지우리옛돌박물관 이미지

 

방문 정보

  • 주소: 서울 성북구 대사관로 13길 66 전화번호: 02-986-1001
  • 이용 시간: 평일 10:00~17:00, 주말 및 공휴일 10:00~18:00 (매주 월요일 및 1월 1일 휴관).
  • 입장료: 성인 7,000원, 청소년 5,000원, 어린이(3세~초등학생) 3,000원.
  • 교통: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 6번 출구에서 마을버스 02번을 타고 우리 옛돌박물관에서 하차.

 

우리 옛돌박물관은 한국의 석조유물과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장소로, 서울 도심에서 자연과 문화를 함께 즐길 수 있는 곳입니다.

 

공원 및 자연 명소

 

1. 성북근린공원

성북근린공원은 서울 성북구 돈암동과 성북동에 걸쳐 위치한 공원으로, 북악산길과 인접해 있습니다. 이 공원은 서울 도심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시설과 경관을 제공합니다.

 

특징

  • 위치 및 접근성: 돈암동과 성북동에 걸쳐 있으며, 북악산길과 성북구민회관, 성북여성회관, 고밀도 아파트 단지와 인접해 있습니다.
  • 경관: 정상부에서 서울 시내 전체를 조망할 수 있으며, 북동쪽으로는 정릉과 도봉산의 경관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 시설: 1.2km의 산책로와 생태연못, 정자, 체육시설 등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하늘한마당은 다양한 행사가 열리는 문화공간으로, 북악산 산책로인 '북악하늘길'의 출발점이기도 합니다.
  • 주변 명소: 성북역사문화센터, 최순우 옛집 등이 인근에 위치해 있어 역사적 명소와도 연결됩니다.

 

성북근린공원 이미지성북근린공원 이미지

 

방문 정보

  • 주소: 서울 성북구 돈암동 616-1055
  • 전화번호: 02-2241-3683
  • 이용 시간: 공원은 24시간 개방되며, 일부 시설은 운영 시간이 다를 수 있습니다.
  • 입장료: 무료.
  • 교통: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에서 버스를 이용하거나 도보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성북근린공원은 도심 속에서 자연과 문화를 함께 즐길 수 있는 특별한 장소로, 다양한 프로그램과 행사가 열리는 곳입니다.

 

2. 개운산공원

개운산공원은 서울 성북구 종암동에 위치한 산지형 공원으로, 1940년 3월 12일에 지정되었습니다. 이 공원은 성북구 중심에 위치하며, 다양한 시설과 경관을 제공합니다.

 

특징

  • 위치 및 접근성: 북악산로를 따라 20분 정도 걷거나, 성신여대입구역 또는 고려대역에서 버스를 이용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 산책로: 약 0.8km로, 어르신과 어린이도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짧은 코스입니다. 시각장애인의 편의를 고려해 안전하게 조성되었습니다.
  • 시설: 산책로, 정자, 지압보도, 테니스장, 운동장, 배드민턴장, 스포츠센터 등이 있으며, 생활체육을 즐기기 좋습니다.
  • 자연경관: 봄에는 벚꽃, 개나리, 진달래 등 다양한 꽃이 피며, 상쾌한 봄바람을 즐길 수 있습니다.
  • 문화적 시설: '산마루 북카페'는 빈손으로 방문해도 책을 읽을 수 있는 공간으로, 자연 속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습니다.

 

개운산공원 이미지개운산공원 이미지

 

방문 정보

  • 주소: 서울 성북구 북악산로 949-60
  • 전화번호: 02-2241-3664
  • 이용 시간: 공원은 24시간 개방되며, 일부 시설은 운영 시간이 다를 수 있습니다.
  • 입장료: 무료.
  • 주차: 주차 가능하며, 성북구의회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개운산공원은 도심 속에서 자연과 휴식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특별한 장소로, 가족 단위 방문객에게도 적합합니다.

 

3. 북한산국립공원

북한산국립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있는 국립공원으로, 1983년에 지정되었습니다. 이 공원은 도심 속의 자연휴식처로, 연평균 약 650만 명의 탐방객이 찾는 인기 있는 장소입니다.

 

특징

  • 지리 및 지형: 북한산은 서울의 진산으로, 평균고도가 600~800m입니다. 타원형의 능선을 따라 조선 숙종 때 쌓은 북한산성이 있으며, 백운대, 인수봉, 만경대 등 다양한 봉우리와 계곡이 있습니다.
  • 생물 다양성: 약 1,300여 종의 동식물이 서식하며, 다양한 식물과 조류, 포유류가 관찰됩니다.
  • 문화적 의미: 대남문, 도선사, 승가사, 문수사 등 다양한 사찰과 사적이 있습니다.

 

북한산국립공원 이미지북한산국립공원 이미지

 

방문 정보

  •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북한산국립공원로
  • 교통: 지하철 3호선, 버스 34 파주, 704, 8772 등을 이용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 입장료: 무료.
  • 운영 시간: 연중무휴, 24시간 개방.

 

체험 활동

  • 등산 및 탐방: 다양한 등산 코스와 탐방 프로그램이 제공됩니다.
  • 생태 탐사: 조류, 식물, 곤충 등 생물다양성 탐사 활동이 가능합니다.
  • 문화 체험: 사찰 방문 및 전통문화 체험이 가능합니다.

 

북한산국립공원은 자연과 문화를 함께 즐길 수 있는 특별한 장소로, 서울 도심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문화 및 예술 명소

 

1. 성북구립미술관

성북구립미술관은 서울 성북구에 위치한 공립 미술관으로, 2009년에 개관한 서울 최초의 자치구 미술관입니다. 이 미술관은 한국 근현대 미술사를 중심으로 다양한 기획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예술의 발전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특징

  • 위치 및 구조: 서울 성북구 성북로 134에 위치하며, 본관과 거리갤러리를 비롯해 성북구립 최만린미술관, 성북예술창작터, 성북어린이미술관 꿈자람 등 3개의 분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전시 내용: 한국 근현대 미술사를 조망하는 독창적인 기획 전시와 성북 지역의 문화 예술 콘텐츠를 담은 다양한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개최합니다.
  • 운영 시간: 매주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10:00~18:00까지 운영하며, 입장은 관람 종료 30분 전까지 가능합니다. 매주 월요일과 설날, 추석은 휴관합니다.

 

성북구립미술관 이미지성북구립미술관 이미지

 

방문 정보

  • 주소: 서울 성북구 성북로 134
  • 전화번호: 02-6925-5011
  • 입장료: 각 전시별로 상이하며, 일부 전시는 무료로 운영됩니다.
  • 교통: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 6번 출구에서 버스나 도보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성북구립미술관은 지역 예술의 발전과 대중과의 소통을 목표로 다양한 전시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 성북 선잠박물관

성북 선잠박물관은 서울 성북구 성북동에 위치한 공립 박물관으로, 조선시대 선잠단과 선잠제의 역사적 가치를 알리기 위해 건립되었습니다. 선잠단은 왕실에서 누에를 기르며 비단을 생산하기 위해 제사를 지내던 장소로, 박물관은 이러한 잠업과 관련된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교육하는 역할을 합니다.

 

특징

  • 전시 구성: 박물관은 총 3개의 전시실과 하늘정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1 전시실: 선잠단의 훼손과 복원 과정을 담아 역사적 의미를 소개합니다.
    • 2 전시실: 선잠제와 친잠례(왕비가 주관하는 양잠 의식)를 모형과 3D 영상으로 재현합니다.
    • 3 전시실: 왕실의 비단창고를 재현한 공간으로, 다양한 비단을 체험할 수 있는 특별 전시실과 개방형 수장고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하늘정원: 옥상에 위치한 소규모 정원으로, 휴식 공간을 제공합니다.

 

성북 선잠박물관 이미지성북 선잠박물관 이미지

 

방문 정보

  • 주소: 서울 성북구 성북로 96
  • 운영 시간: 화요일~일요일 오전 10시~오후 6시 (입장 마감은 오후 5시 30분). 매주 월요일, 설날, 추석 연휴는 휴관.
  • 입장료: 성인 기준 1,000원.
  • 주차: 가능하지만 공간이 협소하여 대중교통 이용을 권장합니다.
  • 교통: 지하철 한성대입구역에서 버스(1111번 또는 2112번)를 이용해 접근 가능합니다.

 

문화적 의미

성북 선잠박물관은 한국의 전통 잠업 문화와 왕실 의례를 현대적으로 재현하여 시민들에게 교육하고 체험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특히, 선잠단지와 가까운 위치에 있어 함께 둘러보기 좋습니다.

 


이 외에도 성북구에는 많은 역사적 유적과 문화재가 있어, 다양한 관광 코스를 즐길 수 있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서울시 동대문구에서 가볼 만한 곳 추천

서울시 동대문구는 역사와 현대가 조화를 이루는 다양한 관광 명소로 가득한 곳입니다. 전통적인 문화유산부터 현대적인 건축물, 자연과 휴식을 즐길 수 있는 공간까지, 풍부한 볼거리와 체험

bhs0130.com

 

서울시 중랑구에서 가볼 만한 10곳 추천

서울 중랑구는 용마폭포공원, 망우역사문화공원, 봉화산 옹기테마공원 등 다양한 관광 명소를 자랑하는 지역으로, 도심 속에서 자연과 문화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매력적인 여행지입니다.   

bhs0130.com

반응형